Home Knou: 철학의이해 | 02. 인간이란
Post
Cancel

Knou: 철학의이해 | 02. 인간이란

인간은 무엇일까 - 인간다움에 대한 성찰

  • 이성과 욕망의 끝없는 싸움 이성만으로 살 수 있나? 욕망은 나쁘기만 한 것일까?

크게 이성과 욕망 두가지로 인간을 나누어 설명하는 철학자들

이성파

아리스토텔레스

인간의 행복이란 이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 탁월함(아레테 - 무언가를 월등하게 타고난?)에 따른 영혼의 활동 (행운과 행복은 별개의 것) 으로 본다

인간의 덕 은 성품의 덕과 사유의 덕으로 나뉜다

성품의 덕

특정 행위를 하는 사람의 성품에 초점 (좋은 습관) 성품은 타고나는 것 + 좋은 습관으로 형성되는 것

중용

누구냐에 따라서, 맥락과 시점에 따라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은 최적의 지점이 중용이다

마땅히 그래야 할 일에 대해 마땅히 그래야할 사람을 향해 마땅히 그래야 할 목적을 위해 마땅히 그래야 할 방식으로 감정을 갖는 것이 중용이자 최선이다

비겁함이란 필요 이상으로 겁을 내는 것 비겁함의 반대는 필요한 겁조차 내지 않는 만용 비겁과 만용의 중간에 용기가 있다 이런 것이 중용

악행에 대해서는 중용이란 것이 없다 악행은 조금만 저지르더라도 악행이기 때문에

무지나 강제에 의해 하는 행동들은 우리의 성품과 관계 없다 자발적으로 하는 것

사유의 덕 (지혜)

현명함으로 불러도 큰 문제는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차이 플라톤은 지혜, 지식, 기술의 구분이 없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구분한다

지식: 대상에 대한 앎 기술: 무언가를 전문적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 지혜: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상황에서 최상의 결과를 도출하는 능력

플라톤의 이데아에 대한 지식은 영원한 것 아리스토텔레스의 지혜는 이데아 처럼 변하지 않는 지식이 아닌 경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좋고 이로운 것에 대해 올바르게 숙고하는 사람을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한다 부분적인 것에 그치지 않고 인생 전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을 지혜롭다고 했다

성품의 덕은 태도와 동기 성품의 덕이 가지는 좋은 의도를 바르게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사유의 덕 때문에 둘 다 갖추어야 한다

현대의 우리는 칸트와 기독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좋은 의도만 있다면 행동의 결과와 무관하게 좋았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의도와 결과 모두 좋아야 했다

칸트

임마누엘 칸트는 의도만 좋아도 괜찮다고 했다 (의무론) 실천이상비판은 크게 당위와 금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가지 명령

  • 가언명령: 만약 ~하면 ~해라 (조건이 있는 것)
  • 정언명령: 무조건 ~해라

자신의 의지의 기준이 보편적인 이법의 원칙과 맞아떨어져야 정언명령이 타당하다고 본다

자신의 인격,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 안의 인간성을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고 수단으로만 대하지 말라

인격의 존엄성 욕망에 굴복하지 말고 자율적으로 이성적인 생각과 행동을 하자

생각해 볼 문제

  • 도덕과 행복의 관계 (행복을 위해서 하는 것은 도덕적인 것이 아니다)
  • 정언명령 사이의 갈등
  • 오로지 의무감만으로 행해야 하는지?

욕망파

토마스 홉스

영국의 근대 철학 이 세계를 움직이는 물체로 바라본다 원인과 결과를 밝히는 일을 참된 지식 (철학)으로 보았다 인간도 물체이기 때문에 인과적으로 움직일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

홉스의 윤리학은 인간이 파악하는 좋음과 나쁨에 대한 지식을 모으는 것 어쩌면 통계학과 비슷할지도..?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인간이 움직이는 동기는 이기심에 있다 모두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 -> 인간의 자연 상태

한정된 자원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계속 싸울 것으로 보았다 ->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인간에게는 자연적으로 주어진 생존에 대한 권리와 의무도 있다고 한다 자기 보존을 위해 행동하는 것에 대한 존중, 상호 존중 때문에 계속된 투쟁으로 멸종하지 않는 것 -> 서로 동의와 합의를 통해 사회를 구성 (사회 계약) 이기적인 개개인에게 계약을 지키자는 특별한 지침을 적용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합의를 해야 한다 홉스는 개인의 자기보존을 위해 이러한 계약에 당연히 합의를 할 것으로 보았다 계약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강제성 또한 필요하고 그를 위해 군주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개개인의 권리를 위임받는 군주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군주는 개개인의 자기보존권을 침해할 수 없다고 했다 군주의 존재 이유가 개개인의 자기보존권을 존중하기 위해 존재하기 떄문

생각해 볼 문제

  • 인간의 본성이 꼭 이기적인가 (측은지심 등을 설명할 수 없다)
  • 군주를 끌어내릴 방법
  • 생존만 보장되면 끝나는가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Knou: 철학의이해 | 01. 철학이란

Knou: 유닉스 시스템 | 01. 리눅스 소개